공중보건학의 출현배경과 보건학의 분류 4가지

공중보건학의 출현배경과 보건학의 분류 4가지


【공중보건학의 정의】

 

Winslow는 조직적인 지역사회의 공동노력을 통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생명(수명)을 연장시키며, 신체적,정신적 효율을 증진시키는 기술과 과학이라고 정의 하였습니다.

 

 

【공중보건학의 지역사회】

지역사회의 노력은 공중보건학의 활동범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① 개인위생에대한 보건교육

② 환경위생

③ 전염병관리

④ 질병의 조기발견 및 치료를 할 수 있는 의료 서비스

⑤ 모든 사람들이 자기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적합한 생활 수준

 

【공중보건학의 목적】

질병을 예방하고, 생명을 연장시키며, 육체적(신체적) 정신적 효율을 증대.

① 생활환경개선/관리

② 질병을 조기발견/치료(의료서비스)

③ 전염병 예방/차단

④ 보건교육

⑤ 환경위생관리

 


【공중보건학의 출현배경】

공중보건학의 출현하게된 배경은 근세 1500년 프랑스혁명과 영국의 산업혁명을 계기로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도시로 인구가 집중되고 사회전체의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게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공중위생에 대한 인식을 갖게되어 공공을 대상으로하는 공중위생학이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① 공중보건학과 유사한 용어 : 위생학, 공중위생학, 예방의학, 지역사회의 의학, 사회의학 등 이러한 용어의 범위는 임의적인 것이지 실제로 엄격히 나눌 수 없습니다.

 

② 위생학(Hygiene) : 태양의신 Apollo의 아들인 의술의신 Aesculapius의 중 Hygieia가 건강을 수호 하는 여신으로 불리웠던것에서 연유되었습니다. 그러나 2세기경 이탈리아의 의학자 갈레누스 (Galenus)가 Hygiene 이란단어를 최초 사용했습니다. Hygiene 이라는 단어는 위생이라고 번역된 것은 중국의 고서인 “장자”에 있는 위생이라는 개념이 Hygiene이라는 개념과 사용한데서부터 시작 된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③ 공중위생학 : 사회가 발전함에따라 개인의 건강문제가 개인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전체의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게됨으로써 보다 많은 사람들의 공중위생에 대한인식을 갖게 되어, 이러한 연구를 하는 학문입니다. 프랑스의 혁명과 영국의 산업혁명을 계기로 공공을 대상으로하는 공중보건학이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일본과 독일은 위생학 용어를 많이 쓰고 있고, 미국과 영국은 공중보건학, 예방의학, 사회의학이라는 표현을 사용했습니다.

 

여기서 공중보건학과 예방의학의 차이점은 대상과 내용이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목적은 질병의 예방, 수명의 연장, 육체적, 정식적 건강과 효율의 증진이며, 예방의학의 대상은 개인, 가족인 반면, 공중보건학은 지역사회이고, 예방의학의 내용이 질병예방과 건강의 증진이며, 공중보건학은 집단건강의 향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공중보건학의 내용의 분류】

공중보건학의 다양한 분야가 특정 개인이 아닌 지역사회를 단위로 한 인구집단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다라는 점 입니다. 그래서 공중보건학의 최소사업 단위는 지역사회이고, 공중보건학의 최소 사업대상도 지역사회의 전체주민이 됩니다.

 

① 환경보건 분야 : 환경위생, 식품위생, 산업보건.

② 질병관리 분야 : 역학, 전염병관리, 기생충 질병관리.

③ 인구보건 분야 : 인류생태, 가족계획, 모자보건.

④ 보건관리 분야 : 보건교육, 보건행정, 보건통계, 보건영양, 정신보건, 학교보건, 보건정보.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